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도커
- 그리드 알고리즘
- TCP
- 분할정복
- 자료구조
- 이분탐색
- 자바
- 순열
- 알고리즘
- 백준
- 브루트포스
- 역방향 반복자
- CI/CD
- Spring
- 그래프
- 스프링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AWS
- 트리
- 분할 정복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SQL
- 컴퓨터 네트워크
- HTTP
- GIT
- BFS
- 그리드
- 재귀
- dfs
- github action
- Today
- Total
목록github action (2)
코딩성장스토리
CI/CD 쪽을 공부하다가 배포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걸리고 이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.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캐싱작업이 필수적이다. 캐싱작업이란? 배포하면서 거의 변동되지 않는 파일을 중복적으로 설치 및 배포하는 과정이 있다. 이런 파일들을 미리 Github의 캐시에 올려두고 사용한다. (대표적으로는 Spring 의 gradle을 예시로 둘 수 있다.) 사실 별도의 설정 없이 Github action이나 Docker에서 이미 캐싱 기능을 지원해주고 있다. 이번에는 이 두가지에 대해 알아보겠다. 1. 도커 배포 빌드 캐싱 참조 자료: https://docs.docker.com/build/cache/backends/gha/#scope GitHub Actions cache Use the GitHub..

CI/CD에 대해 공부를 진행하면서 배웠던 거에 적어 보려한다. CI/CD의 개념 CI란? -"CI"는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(Continuous Integration)을 의미합니다. 지속적인 통합이 제대로 구현되면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새로운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를 거쳐 공유 리포지토리에 병합 CD란? -"CD"는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(Continuous Delivery) 및/또는 지속적인 배포(Continuous Deployment)를 의미하며 이 두 용어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됩니다. 두 가지 의미 모두 파이프라인의 추가 단계에 대한 자동화 CI/CD를 지원해주는 툴은 여러개가 있다.(github action, jenkins 등등...) 여기서 나는 가장 익숙하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