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TCP
- 이분탐색
- 브루트포스
- dfs
- 알고리즘
- AWS
- 순열
- 자료구조
- 스프링
- 역방향 반복자
- CI/CD
- 재귀
- 그리드 알고리즘
- HTTP
- BFS
- 자바
- 분할 정복
- 컴퓨터 네트워크
- github action
- 도커
- 트리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SQL
- 그리드
- 백준
- 분할정복
- GIT
- 그래프
- Spring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Today
- Total
목록컨테이너 (2)
코딩성장스토리
스프링에 전에 배운 스프링 빈을 사용할 때 모든 클래스에 빈을 등록해야한다. 즉 빈을 반복적으로 추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. 그로므로 존재하는게 컨포넌트스캔(Conponentscan)이다. @Conponentscan을 쓸려면 빈에 입력이될 객체 위해 @Component를 적어야한다. 주의점(Configuration이 들어간 모든 것을 빈에 넣기 때문에 주의해서 뺼건 빼줘야한다, 또한, 스프링빈에 입력이 될떄 클래스명 앞글자가 소문자로 변한다 ex)Member -> member) 밑에 코드를 보자 @Configuration @ComponentScan( excludeFilters = @ComponentScan.Filter(type = FilterType.ANNOTATION,classes=Configurati..
이 글은 싱글톤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주의할점과 싱글톤의 좋은 점을 적는다. 천천히 읽어보자 전에 쓴 글처럼 DI를 이용해서 public class AppConfig { @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() { return new MemberServiceImpl(memberRepository()); } @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(){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 } @Bean public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(){ return new OrderServiceImpl(new MemoryMemberRepository(),new FixDiscoun..